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궁내막폴립수술
- 너무열심히하지말자
- 엄청난태동
- 분노부추기는사회
- 차이나는클라스오은영
- 자궁내막폴립종
- ADHD
- 생리통
- 정부산후도우미
- 케이패스
- 프라이빗펜션
- 청소년ADHD
- 자궁용종제거수술
- 알로프트명동
- K패스
- 36시간단식
- 이레아이맘
- 박진영의사회심리학
- 적게먹기
- 완벽주의가일을망친다
- 두루미공동육아나눔터
- 나만의안전기지
- 나이든사람이된다는것
- 이기적인아이
- 자기중심적인아이
- 예민한사람을위한조언
- 쓰레기뉴스
- 산전우울증
- 유아ADHD
- 항암식재료
- Today
- Total
Be kind to yourself
남녀의 자신감 격차 본문

실제 생활에서 여성은 자신의 실력에 대해 엄격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여성은 완벽히 준비가 되어있을때에 본인을 드러낸다.
물론 남성들 역시 자신의 능력에 의구심을 가지지만, 여성들만큼 반복적으로 강하게 느끼진 않는다.
이를 남자들의 "근거없는 자신감(Honest overconfidence)"이라고 한다.
이런 근거없는 자신감은 커리어 개발에 도움이 된다.
어느 조직에서나 가장 존중받는 사람은 실력이 뛰어난 사람이 아니라, 자신있게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놓는 사람들이니까.
정말로 자신을 믿고 있기에 동료들도 신뢰한다.
여성들 중에는 완벽주의자가 많다.
그것 역시 자신감에 영향을 끼친다.
여성들은 100% 자신있을 때까지 일을 끝낸 것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끝낸 일은 남성보다 적다.
자신있을 때까지 시험에 지원하지 않고, 위험을 무릅쓰지 않는 경향이 있다.
두뇌가 작동하는 방식, 호르몬의 분비를 보면 여성은 생물학적으로도 부정적인 감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남녀의 삶을 바꾸어 놓았다.
여성들은 초등학교에서부터 공부를 잘하고 유순하게 사회에 잘 적응하면 칭찬을 받는다.
남자 아이들은 꾸중을 듣고, 벌을 받고 실패를 하면서 멘탈을 키워나간다.
재밌게도 실패를 했을 때 남자 아이들은 그 이유를 '노력 부족'으로 돌리는 반면, 여자 아이들은 자신에게 '능력'이 없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악순환이 시작된다.
여자 아이들은 자신감이 없어 경기 등에 임하지 않고, 자신감을 기를 수 있는 기회조차 잃게 되는 것이다.
자신감 부족이 치명적인 이유는 '시도를 하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다.
밀라노 심리학자 재커리 에스테스의 흥미로운 실험이 있다.
남녀 모두에게 공간 지각 퀴즈를 줬을 때 남성의 시험 점수가 더 높았는데, 이는 여성들이 많은 질문에 대답을 안하고 넘어갔기 때문이었다.
반드시 모든 문제를 풀어야 시험을 끝낼 수 있게 전제 조건을 바꿨다.
그러자 여성의 점수가 급격히 올라 남성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바로 이 대목이 중요하다.
여성이 자신이 없어 주저하는 걸 막을 수 있다면 남녀의 자신감 격차, 사회적 성공 격차도 좁힐 수 있을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자신의 능력과 성과를 '과대 평가'하고, 여성은 자신을 '과소 평가'한다.
여성들은 무능하지 않다. 그들은 남자들만큼 유능하다.
여성들의 발목을 붙잡는 것은 '시도하지 않는' 그들의 선택이었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여성이 먼저 나서면 소위 '나댄다'는 낙인이 찍힐 부정적인 사회 분위기가 한몫했기 때문일 것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실패한 후에 다시 평정을 찾는 것은 멘탈을 키워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여성들은 그만 생각하고 도전하고, 행동해야 한다.
행동을 하다보면 인간의 뇌도 우리의 몸이 움직이는 대로 바뀌게 될 것이다.
.
.
▪️ 원문 출처 : The Atlantic
Katty Kay와 Claire Shipman의 이야기 中 발췌
'🏷️ 내면에 힘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마를 그렇게 기억하고 싶지 않아서 (1) | 2022.11.19 |
---|---|
거리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 (0) | 2022.11.16 |
나이 든 사람이 된다는 것 (0) | 2022.05.16 |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0) | 2022.05.15 |
나만의 안전기지를 찾는게 중요해요. -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조언 (0) | 2022.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