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소년ADHD
- 36시간단식
- 자궁내막폴립종
- 분노부추기는사회
- 유아ADHD
- 완벽주의가일을망친다
- 이기적인아이
- 예민한사람을위한조언
- 알로프트명동
- 프라이빗펜션
- 정부산후도우미
- 자궁용종제거수술
- 산전우울증
- 너무열심히하지말자
- ADHD
- 나이든사람이된다는것
- 엄청난태동
- 케이패스
- 항암식재료
- 차이나는클라스오은영
- 자궁내막폴립수술
- 이레아이맘
- 쓰레기뉴스
- 적게먹기
- 생리통
- 자기중심적인아이
- 나만의안전기지
- 박진영의사회심리학
- 두루미공동육아나눔터
- K패스
- Today
- Total
Be kind to yourself
우유와 같이 먹으면 안되는 음식, 우유 음식 궁합 본문
우유와 같이 먹으면 안되는 음식
가급적이면 유제품을 자제하려고 하는데, 요맘때 아기들은 우유만큼 칼슘 섭취되는게 또 없네.
(사실 우유가 간식으로 주기에 제일 간편함;)
나도 시리얼에 우유 말아먹는거 너무 좋아하고, 또 빵이랑 우유랑 먹으면 을매나 맛있냐
우유의 효능에 대해서는 말도 많고, 뭐 명확한 결론도 없지만서도,
그래도 건강 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이유는 뼈 건강에 훌륭한 칼슘 함량이 풍부하기 때문이겠지
갱년기 여성에게 좋은 우유
우유에는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 성분이 들어있다.
뇌혈관 장벽을 통과해서 뇌신경세포에 세로토닌을 만든느 원료로 사용된다.
갱년기 증상들 중 하나인 우울감과 불면증, 불안감 개선 등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우유와 더불어 콩, 자두등이 갱년기인 분들께 권유되는 식품이다.
우유와 상극인 음식들
우유와 같이 섭취했을 때 체내 칼슘 섭취를 방해하는 음식들이 있다.
1. 시금치
시금치랑 우유 넣어서 리조또 해먹으면 맛있는데 상극이라네...참나..
오늘도 시금치 파스타 해줬는데..
시금치의 옥살산 성분이 우유의 칼슘 흡수를 방해한다고 한다.
칼슘과 옥살산 성분은 서로 상극인 성분인데, 소화 작용을 방해하고 심할 경우 담석증, 결석을 유발할 수도 있다.
2. 초콜릿
지방 함량이 높은 초콜릿이 우유 속 지방과 만나면 콜레스테롤 수치를 급격히 높인다고 한다.
그러면 밀크 초콜릿은요??? ㅜㅜ 초코라떼는요?ㅜㅜ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함께 먹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
3. 자색고구마 / 블루베리
특히 자색고구마는 우유랑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바로 안토시아닌 때문인데, 안토시아닌은 자색고구마의 붉은색을 띄는 폴리페놀 계열 색소다.
체내에 들어왔을 때 활성산소로 생긴 산화물질을 제거하고 염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우유 속 칼슘이 자색고구마의 안토시아닌과 결합하면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된다고 한다.
그런 관계로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블루베리 또한 우유와 상극이라고 할 수 있다.
4. 시리얼 (설탕)
시리얼 속에 설탕과 우유의 유당에 존재하는 갈락토스 성분은 췌장에 무리를 줄 수 있다.
특히 아침 식사 대용으로 우유에 시리얼을 말아먹으면, 췌장에 급격한 부담을 줄 수 있어 권유되지 않는다.
5. 매운 음식
매운 음식을 먹은 뒤 속을 달래고자 우유를 곁들여 먹는데, 매운음식과 우유는 위를 자극하는 최악의 조합이라고 한다.
우유에 든 칼슘과 카제인(단백질)은 위산 분비를 촉진한다.
따라서 매운 음식을 먹고 우유를 먹는 행동은 위의 점막을 더욱 자극하는 것과 같다.
특히나 위염, 위궤양 환자라면 지양해야 한다.
매운 음식을 먹고 속이 안좋을 때에는 차라리 꿀물이 낫다.
'알아두면 쓸데있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K패스 발급신청, 환급금 얼마? (케이패스 알뜰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비교) (0) | 2024.05.23 |
---|---|
운동할 시간이 없는 사람들을 위한 운동법, ADHD 아이가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1) | 2024.01.29 |
소식(小食)해야 하는 이유, 생활 속 치매 예방법은 '적게 천천히' 먹기 (0) | 2022.05.15 |
속쓰림에 좋은 음식 | 항암 식재료 브로콜리 효능, 보관법 (0) | 2022.05.12 |
임신 중 및 임신 후의 우울증과 기억상실 (0) |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