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 kind to yourself

K패스 발급신청, 환급금 얼마? (케이패스 알뜰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비교) 본문

알아두면 쓸데있는

K패스 발급신청, 환급금 얼마? (케이패스 알뜰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비교)

노킹온헤븐스도어 2024. 5. 23. 12:23

 

K패스 신청해서 환급받고, 교통비 부담 줄이기

환급을 통해 교통비를 아껴주는 케이패스가 5월 1일부터 도입되었습니다.

2023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인 K패스는 알뜰교통카드의 다음 사업으로 최근 시작되어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출발, 도착을 눌러야만 했던 알뜰교통카드의 기존 서비스 한계를 극복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K패스란? 

-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 이용 시, 자동으로 일정 비율만큼 환급되는 K패스.

- 월 15회 이상 대중 교통을 이용한다면, 최대 60회까지 교통비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 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

 

 

K패스 혜택 (환급 비율)

구분 일반 청년 (만19세~34세) 저소득
환급비율 20% 30% 53%

 

 

K패스 환급금 얼마?

한 달 대중교통비 7만원 지출 하는 K패스 이용자의 경우, 아래와 같이 교통비가 절감(환급)됩니다.

구분 일반 청년 (만19세~34세) 저소득
환급비율 20% 30% 53%
환급비용 14,000원 21,000원 37,000원

 

 

K패스 기후동행카드 비교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중 어떤 교통카드가 본인에게 유리한지 잘 알아보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 한정되어 서울을 벗어난 지역에 하차하면 별도의 요금이 추가되는 대신, 서울 내 탑승 가능한 대중 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외 대중교통 이용자라면, K패스 카드를 발급받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겠네요!

구분 기후동행카드 K패스
이용 범위 서울시 전국
이용 수단 서울시 면허 버스, 서울 시내 지하철, 공공자전거 지하철, 버스,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A
운영 방식 정기권 환급형
혜택 적용 교통수단 무제한 이용 이용 금액의 20~53% 환급
추천 대상  서울 시내 대중교통 이용자 서울시외 대중교통 이용자

 

 

K패스 발급 신청 (이용 방법)

 

1. 회원 대상 환급 

2. K패스 카드 발급

3. 회원 가입 후 이용

★ 카드사 중 원하는 교통카드를 골라 신청한 후, 케이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기존알뜰교통카드 이용자의 경우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 전환 동의만 하면, 기존 알뜰교통카드 그대로 케이패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6월 30일까지 전환 가능)

 

 

케이패스 궁금증 Q&A

1) 환급 금액,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나요?

환급 금액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대중교통 이용 후 최대 14일 이후에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외국인도 이용할 수 있나요?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 등록번호로 주소지를 검증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관련 서류 업로드하여 가입이 가능합니다.

3) 환급은 어떤식으로 되나요?

회원가입 후, 케이패스 카드로 대중 교통을 이용하시면, 계죄입금이나 결제금액 차감등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 환급이 자동으로 이뤄집니다. 

 

반응형
Comments